운동이 치매 예방에 미치는 영향: 최신 연구 결과를 중심으로
건강한 생활 습관과 치매 예방
최근 5년간 발표된 연구들은 운동을 포함한 건강한 생활 습관이 치매 예방에 큰 도움이 된다는 것을 일관되게 보여주고 있습니다. 특히 주목할 만한 연구는 미국 러시 대학교 의료센터의 다나(Dhana) 박사 팀이 JAMA Neurology(2024년)에 발표한 연구입니다. 이 연구에서는 건강한 생활 습관이 뇌에 치매 관련 병리학적 변화(베타 아밀로이드 축적 등)가 있더라도 인지 기능을 유지하는 데 도움이 된다는 것을 발견했습니다.
연구진은 586명의 노인들을 대상으로 그들의 생활 습관(식이, 운동, 인지 활동, 금연, 적절한 알코올 섭취)과 사망 전 인지 기능, 그리고 사후 뇌 부검 결과를 분석했습니다. 놀랍게도 건강한 생활 습관을 가진 노인들은 뇌에 치매 관련 병리가 존재해도 더 좋은 인지 기능을 유지했습니다(Dhana et al., 2024). 이는 건강한 생활 습관이 ‘인지 예비력’을 제공하여 뇌에 문제가 있더라도 더 오랫동안 정상적인 인지 기능을 유지할 수 있게 한다는 것을 시사합니다.
운동이 치매 예방에 도움이 되는 방식
최신 연구 결과들을 종합해보면, 운동이 다음과 같은 방식으로 치매 예방에 도움이 됩니다:
1. 뇌 혈류 개선
정기적인 운동은 뇌로 가는 혈류를 증가시킵니다. 2020-2023년 사이 여러 연구에서 유산소 운동이 뇌 혈관 건강을 개선하고 산소와 영양소 공급을 증가시켜 신경 세포의 건강을 유지하는 데 도움이 된다는 것이 확인되었습니다(Livingston et al., 2020). 이렇게 증가된 뇌 혈류는 인지 기능 저하를 예방하고 뇌의 회복력을 향상시킵니다.
2. 뇌유래신경영양인자(BDNF) 증가
운동은 BDNF라고 불리는 단백질의 생성을 촉진합니다. BDNF는 마치 뇌의 비료와 같은 역할을 하여 신경 세포의 생존과 성장을 촉진하고, 시냅스 가소성(뇌가 새로운 정보를 학습하고 기억하는 능력)을 향상시킵니다. 최근 연구들은 규칙적인 운동이 BDNF 수준을 증가시켜 치매 위험을 감소시킬 수 있음을 보여주고 있습니다(Buchman et al., 2019).
3. 베타 아밀로이드 감소
2024년 JAMA Neurology에 발표된 연구에 따르면, 건강한 생활 습관(운동 포함)을 가진 노인들은 뇌에서 베타 아밀로이드 축적이 적었습니다(Dhana et al., 2024). 베타 아밀로이드는 알츠하이머 치매의 주요 병리학적 특징 중 하나로, 이것이 적다는 것은 치매 발병 위험이 낮다는 것을 의미합니다.
4. 염증 감소
만성 염증은 치매를 포함한 많은 신경퇴행성 질환의 중요한 위험 요소입니다. 2020-2025년 사이 발표된 여러 연구에서 규칙적인 운동이 체내 염증 수준을 감소시키고, 이것이 뇌 건강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친다는 것이 확인되었습니다(Agarwal et al., 2023).
5. 인슐린 감수성 개선
인슐린 저항성은 제2형 당뇨병과 관련이 있으며, 이는 치매 위험을 증가시킵니다. 최근 연구들은 운동이 인슐린 감수성을 개선하여 뇌의 포도당 대사를 정상화하고, 이를 통해 인지 기능을 보호하는 데 도움이 된다는 것을 보여주고 있습니다(Dhana et al., 2021).
최근 5년간의 연구 결과들은 규칙적인 운동이 치매 예방에 중요한 역할을 한다는 강력한 증거를 제공하고 있습니다. 특히 주목할 만한 점은 건강한 생활 습관(운동 포함)이 뇌에 치매 관련 병리학적 변화가 있더라도 인지 기능을 유지하는 데 도움이 된다는 것입니다. 이는 ‘인지 예비력’ 개념을 지지하며, 운동이 치매 발병을 지연시키거나 예방하는 데 효과적인 전략임을 시사합니다.
참고문헌
- Dhana, K., Agarwal, P., James, B. D., Leurgans, S. E., Rajan, K. B., Aggarwal, N. T., Barnes, L. L., Bennett, D. A., & Schneider, J. A. (2024). Healthy lifestyle and cognition in older adults with common neuropathologies of dementia. JAMA Neurology, 81(3), 233-239. https://doi.org/10.1001/jamaneurol.2023.5491
- Livingston, G., Huntley, J., Sommerlad, A., Ames, D., Ballard, C., Banerjee, S., Brayne, C., Burns, A., Cohen-Mansfield, J., Cooper, C., Costafreda, S. G., Dias, A., Fox, N., Gitlin, L. N., Howard, R., Kales, H. C., Kivimäki, M., Larson, E. B., Ogunniyi, A., … Mukadam, N. (2020). Dementia prevention, intervention, and care: 2020 report of the Lancet Commission. The Lancet, 396(10248), 413-446. https://doi.org/10.1016/S0140-6736(20)30367-6
- Buchman, A. S., Yu, L., Wilson, R. S., Lim, A., Dawe, R. J., Gaiteri, C., Leurgans, S. E., Schneider, J. A., & Bennett, D. A. (2019). Physical activity, common brain pathologies, and cognition in community-dwelling older adults. Neurology, 92(8), e811-e822. https://doi.org/10.1212/WNL.0000000000006954
- Agarwal, P., Leurgans, S. E., Agrawal, S., Aggarwal, N. T., Barnes, L. L., Bennett, D. A., & Schneider, J. A. (2023). Association of Mediterranean-DASH intervention for neurodegenerative delay and Mediterranean diets with Alzheimer disease pathology. Neurology, 100(22), e2259-e2268. https://doi.org/10.1212/WNL.0000000000207176
- Dhana, K., Aggarwal, N. T., Rajan, K. B., Barnes, L. L., Evans, D. A., & Morris, M. C. (2021). Impact of the apolipoprotein E ε4 allele on the relationship between healthy lifestyle and cognitive decline: a population-based study. American Journal of Epidemiology, 190(7), 1225-1233. https://doi.org/10.1093/aje/kwab03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