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레켐비란 무엇인가요?
기본 정보
- 성분명: 레카네마브(Lecanemab)
- 제품명: 레켐비주(Leqembi)
- 개발사: 바이오젠(Biogen) + 에자이(Eisai)
- 국내 허가: 2024년 5월 24일 식품의약품안전처 승인
작용 원리
레켐비는 알츠하이머병의 주요 원인 중 하나인 아밀로이드 베타(Aβ) 단백질을 제거하는 인간화 단일클론항체입니다.
- 뇌에 축적된 독성 아밀로이드 플라크를 선택적으로 제거
- 질병의 진행을 늦추는 근본적 치료제
- 기존 치료제와 달리 증상 완화가 아닌 병의 진행 억제가 목표
2. 치료 효과
주요 임상 결과 (CLARITY-AD 연구)
레켐비의 효과는 전 세계 1,795명의 초기 알츠하이머병 환자를 대상으로 한 18개월간의 대규모 임상시험으로 입증되었습니다.
✅ 입증된 효과
- 병 진행 속도 27% 감소 (위약군 대비)
- 약 68%의 환자에서 뇌 내 아밀로이드 단백질 제거 확인
- 일상생활 능력 보존: 위약군 대비 40% 더 나은 유지
- 치매 다음 단계 진행 위험 39% 감소
📊 구체적 수치
- CDR-SB 점수: 위약군 1.66 → 레켐비군 1.21 (0.45점 개선)
- ADAS-Cog 14 점수: 위약군 5.58 → 레켐비군 4.14 (통계적 유의성 확인)
한국인 환자에서의 특징
- 한국인에서는 서양인 대비 부작용이 상대적으로 적게 발생
- 투약 용량과 체중 차이가 영향을 미쳤을 가능성 제기
3. 적합한 환자
치료 대상
✅ 치료받을 수 있는 환자
- 초기 알츠하이머병 (경도인지장애 또는 경증 치매)
- 뇌 영상검사로 아밀로이드 축적이 확인된 환자
- MMSE 점수 21-26점 환자
❌ 치료받기 어려운 환자
- 중등도 이상의 알츠하이머병
- 혈액응고장애나 출혈 위험이 높은 환자
- 최근 12개월 내 뇌졸중, 발작 병력이 있는 환자
- MRI 촬영이 불가능한 환자
치료 전 필수 검사
- 아밀로이드 PET 스캔 또는 뇌척수액 검사: 아밀로이드 축적 확인
- APOE ε4 유전자 검사: 부작용 위험도 평가
- 기준 뇌 MRI: 치료 전 뇌 상태 확인
- 종합적인 인지기능 평가
4. 부작용과 주의사항
주요 부작용: ARIA (아밀로이드 관련 영상 이상)
ARIA란?
뇌 영상검사(MRI)에서 발견되는 비정상적인 소견으로, 아밀로이드 제거 과정에서 나타날 수 있는 현상입니다.
ARIA-E (뇌부종)
- 발생률: 레켐비군 12.6% vs 위약군 1.7%
- 증상: 대부분 무증상, 일부에서 두통, 혼란
- 관리: 정기적인 MRI 모니터링으로 조기 발견 가능
ARIA-H (뇌 미세출혈)
- 발생률: 레켐비군 17.3% vs 위약군 9.0%
- 특징: 대부분 작은 크기의 미세출혈
유전적 위험요소: APOE ε4
- APOE ε4 동형접합체: 전체 AD 환자의 약 15%
- 위험도: 이형접합체나 비보인자 대비 ARIA 발생 위험 높음
- 대책: 치료 전 반드시 유전자 검사 실시
기타 부작용
- 주입 관련 반응 (26.4%): 오한, 발진, 두통, 호흡곤란
- 두통 (11.1%)
- 낙상 (10.4%)
안전 관리 대책
- 정기적 MRI 모니터링:
- 기준 MRI (치료 시작 전)
- 5번째, 7번째, 14번째 주입 전 필수 촬영
- 26번째 주입 전 권장 (특히 APOE ε4 보인자)
- 의심 증상 발생 시 추가 촬영
- 증상 모니터링: 두통, 혼란, 시야장애 등 즉시 보고
- 전문의료진: 신경과 및 영상의학과 전문의 협진
- 응급 대응 체계: 심각한 부작용 발생 시 신속 대응
5. 치료 과정
투약 방법
- 투약 간격: 2주마다 1회
- 투약 용량: 10mg/kg (체중 기준)
- 투약 방법: 정맥 점적 주사 (30분 소요)
- 치료 기간: 아밀로이드 플라크가 충분히 제거될 때까지 (보통 18개월 이상)
치료 일정
치료 시작 → 8주 후 → 12주 후 → 26주 후 → ...
↓ ↓ ↓ ↓
1차 주입 5차 주입 7차 주입 14차 주입
기준 MRI MRI MRI MRI
모니터링 일정
- MRI 촬영:
- 기준 MRI: 치료 시작 전
- 필수 MRI: 5번째, 7번째, 14번째 주입 전
- 권장 MRI: 26번째 주입 전 (52주 시점, APOE ε4 보인자나 ARIA 병력 환자)
- 추가 MRI: 의심 증상 발생 시 언제든지
- 정기 진료: 매 주입 시마다 신경과 전문의 진료
- 인지기능 평가: 3-6개월마다 실시
- 부작용 모니터링: 지속적 관찰
6. 비용과 건강보험
예상 비용
- 연간 약제비: 약 2,700만원-3,500만원
- 미국: 연간 약 3,500만원
- 일본: 연간 약 2,700만원
- 한국:
주요 비용 정보 - 국내에서 레켐비는 현재 비급여로 출시되어 있으며, 연간 약 2,000만원 안팎의 치료비를 환자가 부담해야 하는 상황입니다. DailypharmMedicaltimes
- 투여 방식별 비용
- 레켐비는 환자의 체중에 따라 투여량이 달라지는데, 50kg인 환자가 한 번 투여받을 때 약 100만원을 부담하며, 2주마다 투여하므로 한 달로 계산하면 200만원, 1년이면 2,400만원을 부담하게 됩니다. 40kg인 환자의 경우 한 번 투여할 때 80만원 정도를 부담합니다. 레켐비 국내 도입 6개월…실제 임상 현장 어떻게 달라졌나
추가 비용
- 아밀로이드 PET 스캔: 150-200만원
- 정기 MRI: 회당 30-70만원
- 유전자 검사: 10-20만원
- 주입 시설 이용료: 병원별 상이
건강보험 적용
현재 건강보험 급여 적용에 대한 심사가 진행 중입니다.
실손보험 지원
한국에자이가 흥국화재와 협약을 체결하여 맞춤 보험을 출시했으며, 조건을 충족하고 치료제를 7회 이상 투여하면 최초 1회에 한해 최대 1,000만원의 치료비를 지급합니다. 치매 신약 레켐비 실손보험 만나 가격 허들 해소하나
7. 자주 묻는 질문
Q1. 레켐비가 치매를 완치할 수 있나요?
A. 레켐비는 완치제가 아닙니다. 알츠하이머병의 진행을 늦추어 더 오래 독립적인 생활을 유지할 수 있도록 도와주는 치료제입니다.
Q2. 기존 치매 약과 함께 복용할 수 있나요?
A. 네, 가능합니다. 도네페질, 메만틴 등 기존 치매 치료제와 병용할 수 있습니다.
Q3. 치료 효과는 언제부터 나타나나요?
A. 개인차가 있지만, 임상시험에서는 18개월 시점에서 명확한 효과가 입증되었습니다. 더 이른 시기의 효과에 대해서는 계속 연구 중입니다.
Q4. 부작용이 생기면 치료를 중단해야 하나요?
A. 부작용의 종류와 정도에 따라 결정됩니다. 경미한 ARIA의 경우 일시적 중단 후 재개할 수 있지만, 심각한 경우 영구 중단이 필요할 수 있습니다.
Q5. 언제까지 치료받아야 하나요?
A. 명확한 기준은 없지만, 뇌 내 아밀로이드 플라크가 충분히 제거되고 안전성이 확보될 때까지 계속하는 것이 권장됩니다. 개별 환자 상태에 따라 의료진과 상의하여 결정합니다.
Q6. 레켐비와 아두헬름의 차이는?
A.
- 표적: 레켐비는 가용성 아밀로이드 원섬유, 아두헬름은 섬유성 플라크
- 효과: 레켐비가 더 일관되고 명확한 임상 효과 입증
- 투약: 레켐비 2주마다, 아두헬름 4주마다
- 현재 상황: 아두헬름은 2024년 시장에서 철수
📞 상담 및 정보
전문 의료기관
레켐비 치료는 다음과 같은 시설을 갖춘 전문병원에서만 가능합니다:
- 신경과 전문의
- 영상의학과 전문의
- MRI 시설
- 정맥 주입 시설
- 응급 대응 체계
추가 정보
- 대한치매학회: 치매 관련 전문 정보
- 한국에자이: 제품 관련 문의
- 주치의: 개별 환자 상태에 맞는 상담
📚 참고문헌
- van Dyck, C.H., et al. (2023). Lecanemab in Early Alzheimer’s Disease. New England Journal of Medicine, 388(1), 9-21.
- Bobbins, A., et al. (2025). Safety and effectiveness of the anti-amyloid monoclonal antibody (mAb) drug lecanemab for early Alzheimer’s disease: The pharmacovigilance perspective. British Journal of Clinical Pharmacology, 91(5), 1352-1360.
- Chen, C., et al. (2025). Clarity AD: Asian regional analysis of a phase III trial of lecanemab in early Alzheimer’s disease. The Journal of Prevention of Alzheimer’s Disease.
- 대한치매학회 레켐비 사용 기준 (2024)
- 식품의약품안전처 레켐비 허가 정보 (2024)
본 정보는 의학적 조언을 대체할 수 없으며, 치료 결정은 반드시 전문의와 상의하시기 바랍니다.
최종 업데이트: 2025년 06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