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분 안에 틀린 그림 못 찾으면 치매 위험’ – 과학적 진실은?

SNS에서 자주 보이는 ‘1분 안에 틀린 그림 못 찾으면 치매 위험’이라는 콘텐츠, 정말 과학적 근거가 있을까요? 진짜 치매 위험을 예측할 수 있는 간단한 테스트가 존재하는지, 최신 의학 연구를 바탕으로 살펴보았습니다.

시공간 인지 능력과 치매의 관계는 실제로 존재합니다

시공간 인지 능력 저하는 여러 유형의 치매에서 나타날 수 있는 초기 증상 중 하나입니다. 특히 알츠하이머병과 혈관성 치매 환자들에게서 이런 증상이 관찰됩니다.

최신 연구 결과에 따르면:

  • 알츠하이머병 진단에 있어 시공간 기능 장애는 중요한 지표가 될 수 있습니다(Santagata 등, 2025)
  • 시각적 공간 인지 능력은 알츠하이머병과 다른 형태의 치매를 구별하는 데 도움이 됩니다
  • 파킨슨병 환자에서도 시각 처리 능력과 인지 저하 사이에 유의미한 연관성이 발견되었습니다(Gerner 등, 2025)

그러나 ‘틀린 그림 찾기’만으로 치매를 진단할 수는 없습니다

SNS에서 유행하는 틀린 그림 찾기 테스트만으로 치매 위험을 예측하기에는 과학적 근거가 매우 부족합니다. 전문가들이 지적하는 이유는 다음과 같습니다:

  1. 치매 진단은 종합적 평가가 필요합니다
    • 표준화된 신경심리학적 검사, 의료 이력, 신체 검사, 뇌 영상, 생체표지자 검사 등 다양한 평가를 종합해야 합니다
    • 단일 시각 테스트만으로는 복잡한 뇌 질환을 진단할 수 없습니다
  2. 틀린 그림 찾기 수행에 영향을 미치는 다양한 요인이 있습니다
    • 연령, 교육 수준, 시력 문제, 집중력, A피로도 등이 결과에 큰 영향을 줍니다
    • 일회성 테스트는 당일 컨디션에 따른 일시적 변동을 반영할 수 있습니다
    • 인지 영역 중 하나만 평가하므로 전반적인 인지 건강을 대표하지 못합니다
  3. 연구 결과는 제한적입니다
    • 두 차원 및 삼 차원 시각구성 과제의 진단적 가치를 조사한 연구에서, 이러한 단일 과제만으로는 경도 인지 장애와 알츠하이머병을 구별하는 데 제한적인 것으로 나타났습니다(Martins-Rodrigues 등, 2021)

퍼즐 활동이 치매 예방에 도움이 될까요?

퍼즐이나 틀린 그림 찾기가 치매 예방에 직접적인 효과가 있다는 강력한 과학적 증거는 아직 제한적입니다. 그러나 일부 긍정적인 연구 결과도 있습니다:

  • 태블릿 기반 퍼즐 게임 연구(Urwyler 등, 2023)에서 퍼즐 게임 훈련 후 시각적 주의력과 시공간 인지 능력이 향상되었습니다
  • 최근 대규모 코호트 연구(Wu 등, 2023)에서는 다음과 같은 활동이 치매 위험 감소와 관련이 있었습니다:
    • 성인 문해 활동(컴퓨터 사용, 편지 쓰기, 교육 수업)
    • 활동적 정신 활동(게임, 카드, 체스, 크로스워드, 퍼즐)

그러나 이러한 활동들이 인과적으로 치매를 예방하는지, 아니면 단순히 인지 건강이 좋은 사람들이 이러한 활동에 더 많이 참여하는지는 명확하지 않습니다. 단일 활동보다는 다양한 인지 자극을 제공하는 활동들이 더 효과적일 가능성이 높습니다.

온라인 치매 테스트, 어떻게 받아들여야 할까요?

SNS에서 유행하는 치매 진단 테스트에 대해 다음과 같은 점을 고려해 보세요:

  1. 과학적 근거를 확인하세요
    • 대부분의 온라인 테스트는 임상적으로 검증되지 않았으며 과학적 근거가 부족합니다
    • 클릭을 유도하기 위해 공포심을 자극하거나 과장된 주장을 하는 경우가 많습니다
  2. 단일 테스트의 한계를 이해하세요
    • 복잡한 신경학적 상태를 단일 테스트로 진단할 수 없습니다
    • 테스트 결과가 걱정된다면 의료 전문가와 상담하세요
  3. 과도한 불안을 경계하세요
    • 이런 테스트는 종종 클릭을 유도하기 위해 불필요한 불안감을 조성합니다
    • 정확한 정보에 기반하여 건강 관리를 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참고문헌

<span id=”ref1″>1. Santagata F, Cappa SF, Presta R, et al. Visuospatial impairment in dementia: a new index to improve the clinical diagnosis of Alzheimer’s disease. Aging Clin Exp Res. 2025;37(1):127. doi:10.1007/s40520-025-03028-1</span>

<span id=”ref2″>2. Gerner K, Bublak P, Finke K, et al. Visual processing capacity and cognitive decline in Parkinson’s disease. BMJ Neurol Open. 2025. doi:10.1136/bmjno-2024-000953</span>

<span id=”ref3″>3. Martins-Rodrigues R, da Fonsêca ÉKG, Lucena-Alves SS, et al. Clinical Utility of Two- and Three-Dimensional Visuoconstructional Tasks in Mild Cognitive Impairment and Early Alzheimer’s Disease. Arch Clin Neuropsychol. 2021;36(1):151-164. doi:10.1093/arclin/acz046</span>

<span id=”ref4″>4. Urwyler P, Gupta RK, Falkner M, et al. Tablet-Based Puzzle Game Intervention for Cognitive Function and Well-Being in Healthy Adults: Pilot Feasibility Randomized Controlled Trial. JMIR Aging. 2023;6:e46177. doi:10.2196/46177</span>

<span id=”ref5″>5. Wu Z, Pandigama DH, Wrigglesworth J, et al. Lifestyle Enrichment in Later Life and Its Association With Dementia Risk. JAMA Netw Open. 2023;6(7):e2323690. doi:10.1001/jamanetworkopen.2023.23690</span>

<span id=”ref6″>6. Lee J, West D, Pellegrini C, et al. Walking Interventions and Cognitive Health in Older Adults: A Systematic Review of Randomized Controlled Trials. Am J Health Promot. 2025;39(3):177-190. doi:10.1177/08901171251328858</span>

<span id=”ref7″>7. Chen H, Deng Y, Li X, et al. Factors associated with dementia risk reduction lifestyle in mild cognitive impairment: a cross-sectional study of individuals and their family caregivers. BMC Neurol. 2025;25:138. doi:10.1186/s12883-025-04183-8</span>

<span id=”ref8″>8. Sacchetti S, Palazzi G, Altomare D, et al. Evidence on protective factors for dementia and cognitive impairment in older adults: an umbrella review. Dement Geriatr Cogn Disord. 2025. doi:10.1159/000545503</span>

<span id=”ref9″>9. Ungvari Z, Fekete M, Lehoczki A, et al. Sleep disorders increase the risk of dementia, Alzheimer’s disease, and cognitive decline: a meta-analysis. GeroScience. 2025. doi:10.1007/s11357-025-01637-2</span>

<span id=”ref10″>10. Ishak E, Burg EA, Pike JR, et al. Population Attributable Fraction of Incident Dementia Associated With Hearing Loss. JAMA Otolaryngol Head Neck Surg. 2025. doi:10.1001/jamaoto.2025.0192</span>

댓글 달기

이메일 주소는 공개되지 않습니다. 필수 필드는 *로 표시됩니다

위로 스크롤